Inside Global Enterprises

글로벌 기업 스타벅스 이야기 (2)

woorihana 2023. 7. 9.

글로벌 기업 스타벅스 이야기

글로벌 기업이자 미국의 프랜차이즈 스타벅스를 제가 왜 우리 기업이라고 하는 걸까요?

그렇다면 스타벅스 코리아에서는 또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죠.

 

앞서 스타벅스가 해외에서 어떻게 창립되었고 

어떤 의미의 심볼 마크를 만들게 되었으며,

네이밍에는 어떤 의도가 있었는지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스타벅스가 어떻게 우리 기업이 되었고

또 우리 기업이 되기까지의 스타벅스 발자취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먼저, 스타벅스가 어떻게 우리 기업이 되었는지 알아봐야겠죠?

 

 

 

 

 

 

스타벅스만의 해외진출 방법, 두 가지.

스타벅스의 해외진출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인 '해외 직접 투자' 그리고 '합작 투자'가 있습니다.

해외 직접 투자의 경우, 국내 기업이 해외에 있는 외국 기업에 경영 참가, 기술 제휴, 시장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대외투자를 말하는데요. 단순히 해외에서 자산을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경영참가 혹은 기술 제휴를 목적으로 한 해외투자를 말한다고 합니다. 이는 수입 관세를 피해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이며, 하나의 국가에 직접 투자를 통해 법인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면 해당 국가에 알맞은 운영을 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직수출에 비해 초기 비용이 상당히 필요하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으로 손꼽을 수 있어요.

합작 투자의 경우, 현지 자본과 공동으로 투자하여 기업을 경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사업을 시작할 수 있고 현재 기업이 가지고 있는 인력과 기술력을 동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 때문에 기업의 단점 또한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 사전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스타벅스 코리아의 경우 1999년 7월 본사인 미국과 신세계의 50:50 투자로 설립되어 

기업과 지분, 그리고 경영권을 공유하게 된 합작투자의 형태로 대한민국에 착륙하게 됩니다.

 

한국에서 살아남기 힘들다는 외국기업 성공 사례

세계적인 기업들이 야심차게 한국 땅을 밟았던 사례는 많았지만,

해외의 시선으로 본다면 다소 까다로운 한국인의 취향을 딱 맞추는 기업은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당차게 입점하였으나 철수하기 바빴던 여러 해외 기업들과는 달리,

한국에서 성공한 대표적인 기업 중 성공 사례로 손꼽히는 기업이 바로 스타벅스입니다.

 

스타벅스는 시장지배력을 높여가며 다른 기업들의 벤치마킹의 대사이 될 만큼 성장하고 있는데요.

이와 같은 스타벅스의 행보는,

젊은 층을 타켓으로 다양한 사회문화적 변화를 수용한 사례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렇게 성공하기 위해 스타벅스는 유례없는 경영 전략을 펼쳤는데,

한국적 특성에 맞춘 수정 전략으로 미국 본사에서조차 모범적 성공 사례로 꼽힐 만큼 대단할 것이라고 하네요.

 

 

 

스타벅스

 

 

 

스타벅스 라이선스 독점 계약 

21년 7월 27일, 스타벅스 코리아의 계약 만료 시점이 도래했습니다.

당시 재계약 스타벅스 본사가 합작법인의 계약을 연장하지 않을 것을 두고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품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나왔지만,

대외적으로 신세계측과 스타벅스 미국 본사 둘 다 한국 시장은 신세계 그룹의 이마트가 운영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해 지분을 넘겼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21년이었던 당시, 코로나가 한참 기승을 부릴 시기였기에 엄격해진 방역법에 의해 불안정한 매출이 걱정되던 찰나,

무엇보다 기본 매출을 유지하기도 벅찼던 순간이었을 텐데 

때마침 이마트측에서 지분 인수건을 들고 나온 것입니다.

해당 인수건에는 콜옵션 조항을 포함시켰는데, 이 내용이 미국 본사 입장에서는 꽤 매력적인 제안 조건이라

보다 더 쉽게 계약이 체결될 수 있었던 건데요.

 

세간에 위험한 모험이라는 소리를 한껏 듣고

다양한 질타를 받았던 그 콜옵션에 의해 지분을 인수하는 것에 성공했고

결과적으로는 그 선택이 신의 한 수였다고까지 합니다.

 

신세계 그룹의 이마트가 제시한 콜옵션을 찾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스타벅스 미국 본사의 상표권을 취득해 사업하는 라이선스가 만료된다면 합의된 가격으로 미국 본사가 다시 인수하고, 

이마트 측의 귀책사유가 발생하면 이마트의 지분을 미국 본사 측에서 35%만큼 인하된 가격으로 인수할 수 있다" 

 

얼마나 자신이 있으면 무려 35%나 인하된 가격으로 제시하는 걸까, 

당시 기사를 보았을 때 저는 정말 이해가지 않았던 대목이기도 했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경기가 불안정한 건, 미국 시장 뿐만 아니라 한국 시장도 매한가지일 텐데 아무리 우리나라가 커피의 민족이라고 할 만큼 커피 수요도가 높다고 하지만 한 기업을 뿌리 째 흔들릴 수도 있는 파격적인 조건이지 않나 싶었습니다.

일반인인 제가 이렇게 생각하고 있을 정도인데, 이마트측은 코로나의 방역조치로 인한 손해를 얼마 있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이런 우려보다는, 합작법인의 지분 인수를 통한 라이선스 독점 계약 운영 방식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크다고 생각했던 것이죠. 그렇기에 미국 본사에게 훨씬 유리한 조건을 내걸어 지분을 모두 인수하여 라이선스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 어떻게 되었을까요?

 

 

의 한 수, 이마트의 선택

코로나 19 상황이 호전된 현재, 모두가 무리했다고 무모하다고 외쳤던 

이마트의 결정이 신의 한 수가 되었다고 말해도 될 것 같습니다.

 

물론, 매출이 높은 한국 시장을 놓치고 싶지 않은 스타벅스 미국 본사 또한 

추후에 다시 인수할 여지를 만들어두고 이마트측이 운영하는 시간 동안 이마트 측으로부터 

스타벅스 브랜드 상표권과 라이선스 비용 등을 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한 편에선, 이렇게 이마트가 운영하기 때문에 스타벅스가 변질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라이선스 계약 조건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매출의 5%를 스타벅스 미국 본사에 로열티로 지급하게 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스타벅스 글로벌 라이선스 시스템에 의해 브랜드 품질 관리에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을 약속"한다는 내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원두 구매와 매장 인테리어, 글로벌 상품 출시를 위한 레시피 제공 등은 미국 본사로부터 지속적으로 관리받아 

브랜드 품질 유지에 힘 쓸 것"이라는 내용 또한 덧붙여져 있는데요.

이를 미루어 보아, 우리 나라의 기업이 됐다고 해서

스타벅스 자체의 품질이 변질될 것이라는 우려가 조금은 잠잠해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아무래도 한국 기업과 미국 기업의 모토와 

기업 이익 창출 방식과 경영방식이 다소 차이는 있으나,미국 기업이 아예 발을 빼는 건 아니라고 하니 얼마나 변질되고 얼마나 이익을 창출해 볼지 조금 기대되기도 하고오히려 반대로 변질만 되지 않을까 싶어 우려스럽기도 합니다.

 

아마 스타벅스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다들 같은 마음이지 않을까요?

 

 

 

글로벌 기업 스타벅스 이야기

오늘은 그 두 번째 편으로, 

미국 프랜차이저였던 스타벅스가 어떻게 우리나라 기업이라고 하는지에 대한 발자취를 조금 더 살펴보았는데요.

아직 스타벅스 코리아가 어떻게 매출을 창출했는지,

또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지 못해서 다음 이야기에서 그 내용들을 풀어나가 보려고 합니다.

 

 

출처: 스타벅스 커피 코리아, 네이버

 

https://www.starbucks.co.kr/index.do

 

스타벅스 커피 코리아

스타벅스 커피 코리아

www.starbucks.co.kr

 


관련 글 더보기


더 많은 음악이야기 보러가기

 

'리뷰 음악 드라마 영화' 카테고리의 글 목록

 

stock.heybook.net

 

 

이 글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 추천 글